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골프용어..이것만 알아도 싱글

성노경 2009. 12. 1. 10:07

 1. 도구
1) 드라이버 (1번우드)
2) 페어웨이 우드 ( 3,5..번우드 )
3) 아이언
4) 웨지
5) 퍼터
6) 캐디백(골프채 넣는 가방)
7) 보스턴 백(옷가방)

2. 골프장
8) 코스
9) 홀 (홀컵 혹은 해당 코스를 의미)
10) 페어웨이 (잔디를 잘 깎아 놓은 코스의 중앙지역)
11) 러프 (페어웨이를 벗어난 코스의 지역)
12) 그린 (홀이 있는 곳)
13) OB 구역 (코스를 벗어난 지역)

3. 플레이 관련
14) 티박스 (해당홀의 첫 타를 치는 구역)
15) 티샷 (티 박스에서 치는 첫타)
16) 티 (공을 올려놓는 작은 막대기)
17) 티 오프(tee-off) 첫홀에서 티샷을 하는 행위
18) 티 타임 ; 첫 티 오프를 하는 시간
19) 부킹; 티 타임을 예약하는 행위
20) 세컨샷; 티샷후 두번째 샷
21) 온 그린; 샷을 한 공이 그린에 올라감
22) 어프로치; 그린에 있는 핀(홀)으로 공을 가까이 붙이기 위한 샷
23) 홀 인; 홀 안으로 공을 넣음
24) 홀 인 원; 한번의 샷으로 홀에 공을 넣음
25) 버디; 해당홀 규정 타수보다 1타 적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26) 이글: 해당홀 규정 타수보다 2타 적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27) 알바트로스; 해당홀 규정 타수보다 3타 적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28) 파: 해당홀 규정 타수와 같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29) 보기; 해당홀 규정 타수보다 1타 많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30) 더블보기; 해당홀 규정 타수보다 2타 많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31) 트리플보기; 해당홀 규정 타수보다 3타 많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32) 쿼드러플보기; 해당홀 규정 타수보다 4타 많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33) 더블 파; 해당홀 규정 타수보다 2배 많은 스코어로 홀인을 함
34) 아웃 오브 바운스(OB); OB구역으로 공을보냄
35) 캐디; 해당 플레이어를 도와주는 도우미
36) 프로; 골프를 직업으로 삼은사람
37) 세미프로; 우리나라에서 프로가되기위한 1차 관문을 통과한 준프로
38) 티칭프로; 가르치는것을 주 업으로하는 프로
39) 투어프로; 시합으로 상금을 획득함을 주업으로하는 프로
40) 비기너; 이제 막 골프를 시작한 초보자
41) 보기플레이어; 평균 홀 스코어가 보기인 플레이어
42) 싱글 플레이어; 한 라운드 평균 9오버파 이내의 플레이어
43) 라운드; 18홀을 도는 골프 한게임
44) 스크라치 플레이어; 평균 이븐파를 치는 플레이어
45) 오버파; 규정타수보다 스코어가 더 많이 나온것
46) 이븐파; 규정타수와 같은 스코어
47) 언더파; 규정타수보다 적은 스코어
48) 라이; 공이 놓여있는곳의 기울기
49) 라인; 그린에서 공이 굴러갈 곳의 기울기, 경사
50) 퍼팅; 퍼터로 공을 홀쪽으로 굴림
51) 마크(mark): 그린 위에서 동전이나 마커를 볼 뒤에 놓고 볼을 집는 것
52) 해저드(hazard) : 모든 벙커 또는 연못 등의 워터해저드를 말한다

 

 

 

 

* 갤러리 (Gallery )
경기를 관전하는 관람객

* 골프 코스 (Golf course )
경기를 하기 위해 만들어진 그라운드를 말한다. 주로 20~30 만평. 해변 코스를 지칭하는 링크스와 내륙 코스인 랜드 코스와 함께 쓰이고 있다.

* 그랜드 슬램 (Grand Slam )
골프에서는 특별히 한해 동안 US오픈, 브리티시 오픈, 마스터즈, 미국 PGA선수권 등 4대 주요 경기의 챔피언을 모두 따내는 것을 말한다.

* 그레인 (Grain )
그린 위에서 자라는 잔디의 방향 또는 잔디결

* 그로스 (Gross )
핸디캡 수를 적용하지 않은 실제 타수. 종합점수라고도 한다.

* 그리니 (Greenie )
그린 위에 먼저 볼을 올려놓은 자가 이기게 되는 내기 경기. 기준 타수가 3인 홀에서는 티 샷을 한 이후 홀컵에 가장 가까이 볼을 날린 자가 이기게 된다.

* 그린 재킷 (Green-jacket )
마스터즈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웃옷. 마스터즈 경기는 이색적으로 우승자에게 우승컵 대신 재킷을 수여하고 있다.

* 그린 섬 (Green some )
4인 2조의 경기로 티 그라운드에서는 각자의 볼로 티 샷을 하지만 그 이후에는 각 조에 유리한 한 개의 볼로 경기를 하게 되는 경기 방법

* 더블 이글 (Double-Eagle )
1개 홀에서 기준 타수보다 3타를 적게 친 점수

* 드롭 (Drop )
경기중 공을 잃어버렸거나 장애 지역 또는 도저히 경기가 불가능한 위치에 공이 놓여있을 때 경기자가 가능한 위치에 공을 옮겨놓거나 새로운 공을 다시 놓은 것을 말한다. 이것은 규칙 또는 집행부로부터 허락을 받아야 하며 이것을 허락받은 경기자에게는 벌타가 주어진다. 또한 이것은 본래 공의 위치에서 최소한 가까운 위치에 한하여 허락되며 통상 팔넓이만큼 허락된다.

* 도미 (Dormie )
한 경기자의 타수와 상대편의 타수와의 차이가 앞으로 남은 홀수와 같거나 더 많은 때를 도미라고한다. 예를 들면 갑은 을보다 3타가 앞서는데 3개의 홀을 남겨 놓았고 을은 갑과 동점을 이루기 위해서는 나머지 3개의 홀에서 모구 승리해야 할 때를 말한다.

* 던치 샷 (Dunch-shot )
푹석푹석 발이 빠지는 모래 구덩이에서 볼을 가격할 때 '퍽'소리나는 짧은 샷을 말한다.

* 댄스 훌로어 (Dance floor )
티 그라운드와 그린 사이의 잔디 구역 잘 깍여진 잔디 위로 안전하게 떨어진 공을 보고 댄스 훌로어에 떨어졌다라고 한다.

* 드라이버 (Driver )
길이가 42~44인치 정도이고 공 치는 부분이 나무로 되어 있는 가장 긴 골프채

* 래터럴 워터 해저드 (lateral water hazard )
플레이 하는 선과 거의 병행해 있는 워터 해저드, 또는 그 일부.볼이 해저드의 경계선을 최후로 넘은 점과 홀을 연결하는 선상의 후방에 볼을 드롭하기 불가능한 수역을 말한다. 여기에 볼이 들어간 경우 벌로 1타를 더한다

* 루스 임페디먼트 (loose impediment )
자연물로써 생장하지 않고 땅에 단단히 박혀 있지 않으며 돌,나뭇잎,나뭇가지같은 것들과 벌레,,그들의 미세물및 이것들이 쌓여 올려진 것들을 말한다

* 롱 아이언 (Long iron )
보통 1,2,3번 아이언을 롱 아이언이라고 한다.

* 마샬 (Marshall )
아이언 클럽 중 5번 아이언에 해당하는 클럽을 말한다.

* 매시 (Mashie Niblick )
아이언 클럽 중 7번 아이언을 말하는 초창기 이름

* 매치 플레이 (Match play )
경기의 일종으로 홀 매치라고도 한다. 2인또는 2조로 나누어 각 홀별 타수로 승패를 정한다.
* 멀리건 (Mulligan )
최초의 샷이 잘못되어 벌타없이 주어지는 세컨드 샷을 말한다. 이 경우 규칙은 가까스로 티를 벗어나 흘러내린 티샷에 한해서만 허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 버라이드 라이 (Buriedlie )
공이 부드러운 잔디나 모래에 떨어져 거의 시야에서 숨어 버렸을 때에 일어나는 불운한 상황을 말한다.

* 벙커 (Bunker )
모래 함정 또는 풀이 무성한 저지 같은 모험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낸 장애물을 말한다.

* 베터 볼 (Better-ball )
2인조 경기 중 그 한 홀에서 나온 두 득점 중 적게 나온 득점을 선택하는 것이다. 베터 볼은 항상 2인조 경기에 사용되고 베스트 볼은 4인조 경기에서 사용된다.

* 베스트 볼 (Best-ball )
포오섬(4사람이 두패로 갈라져서 하는 경기)경기 중 한 홀에서 나온 득점 중 가장 적게 나온 단독 점수의 선택이다.

* 베피 (baffy )
옛날 골프에서의 나무헤드(우드클럽)로 스픈(3번우드)보다 더 큰 로프트를 가지고 있다. 요즈음 게임에서는 4번 내지 5번 우드 정도로 분류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 스트로크 (STROKE )
볼을 올바르게 쳐서 움직일 의사를 가지고 행한 클럽의 전방향으로의 동작을 말한다.

* 업저버 (Observer )
업저버란 사실문제의 판정에 관하여 판단원을 조언하며 반칙을 판단원에게 보고하기 위하여 위원회가 임명한 사람을 말한다. 업저버는 깃대에 붙어 서거나 홀 앞에 서거나 홀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볼을 집어 올리거나 그 위치를 마크하지 못한다.

* 이미지너리 라인 (Imaginary line )
퍼팅을 할 때 볼로부터 홀컵에 이르는 상상 속의 가상 퍼팅 라인을 말한다.

* 에이스 (Ace )
티 위에 공을 올려 놓고 단 한번에 쳐서 구멍에 넣는 것. 홀인원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만약 공이 깃대에 기대어져 있을 때는 깃대를 조심스레 움직여서 공이 구멍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치워줄 수 있다.

* 치 (Chee )
나무 손잡이로 된 4번이나 5번 아이언 클럽

* 칩 샷 (Chip shot )
그린 주변에서 정교하고 부드럽게 쳐서 공중으로 띄워 그린 위로 올린 뒤 홀을 향해 굴러가게 하는 것으로 4,5,6번 아이언 로프트를 사용한다.

* 캐주얼 워터 (casual water )
플레이어가 스탠스를 취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볼 수 있는 코스상의 일시적으로 고인 물을 말하며 워터 해저드 안에 있는 것은 "캐주얼 워터"가 아니다.

* 티잉 그라운드 (teeing ground )
플레이할 홀의 출발장소를 말한다

* 페어웨이 (Fairway )
티 그라운드와 퍼팅 그린 사이에 놓여진 잔디

* 페이드 (Fade )
짧은 거리를 왼쪽에서 휘어졌다 오른쪽으로 보내는 잘 조정된 슬라이스. 대단히 큰 장거리 바나나 볼과는 단거리의 정교한 콘트롤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포 볼 매치 플레이 (Four-ball )
4명 모두의 점수를 적용하여 승부를 가리는 포 볼 헐 매치 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경기 운영을 쌍방의 최고 득점자의 점수로 승부를 가리는가 하면 최저 득점으로 승부를 결정하기도 하며 때에 따라서 최고와 최저의 점수를 합한 종합 점수로 승부를 가르는 등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 해저드 (hazard )
모든 벙커 또는 워터해저드를 말한다

* 핸디캡 (Handicap )
실력이 다른 두 경기자가 동등한 조건에서 경기를 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허용타수. 이것은 각자의 기량과 코스의 기준 타수와의 평균치로 정해지며, 보통 1개월 사이에 있는 3~5회의 경기 성적을 핸디캡 위원에게 제출하면 위원회에서 이것을 기초로 핸디캡을 산출한다.

* 홀인원 (Hole in on-e )
단 한번의 타격으로 볼을 홀컵 속에 집어 넣는 것. 에이스라고도 한다

출처 : 엠파스

Re: 골프용어


지구로온사나이님 작성 | 답변채택률: 63/4772

작성일: 06-02-23 11:27


신고 


1. 어드레스
(Addressing the Ball) 플레이어가 스탠스를 취하고 클럽을 지상에 대었을 때 "어드레스" 한 것으로 간주한다. 단, 해저드에서는 스탠스를 취한 때에 "어드레스"한 것이 된다.

2. 어드바이스
(Advice) "어드바이스" 란 플레이어가 플레이의 결단, 클럽의 선택 또는 스트로크의 방법에 영향을 주는 조언이나 시사를 말한다. 규칙이나 공지사항, 예를 들면 해저드, 퍼팅 그린상 깃대의 위치 같은 것을 알리는 것은 어드바이스가 아니다.

3. 인플레이의 볼
(Ball in Play) 볼은 플레이어가 티잉 그라운드에서 스트로크를 하는 순간에 "인 플레이"가 된다. 그 볼은 분실되거나 아웃 오브 바운드이거나 집어올렸을 경우나 혹은 적용되는 규칙에 따라 다른 볼로 교체되었을 경우를 제외하고 홀 아웃될 때까지 인 플레이 상태를 지속한다. 단, 교체구의 경우, 볼의 교체를 허용하든 안하든 상관없이 교체된 볼이 인 플레이 볼이 된다.

4. 벙커
(Bunker) "벙커"라 함은 대개의 경우. 오목한 지역으로 풀과 흙이 제거 되고 그 대신 모래 또는 모래와 같은 것을 넣어서 지면에 조성한 구역으로 된 해저드이다. 벙커 안이나 가일지라도 풀로 덮인 부분은 벙커의 일부가 아니다. 벙커의 한계는 수직 아래쪽으로 연장될 뿐 위쪽으로는 아니다.

5. 캐디
(Caddie) "캐디" 란 플레이하는 동안 플레이어의 클럽을 운반 또는 취급하거나, 본 규칙에 따라 플레이어를 도와 주는 사람을 말한다. 공용의 캐디는 볼에 문제가 일어난 때 그 볼의 소유자의 캐디가 되며, 캐디가 가지고 있는 휴대품도 그 볼의 소유자의 것으로 간주한다. 다만 특별히 타인의 지시에 의하여 행동한 때에는 그 지시한 플레이어의 캐디로 간주한다.

6. 캐주얼 워터
(Casual Water) "캐주얼 워터"란 워터 해저드 안에 있지 않은 것으로서 플레이어가 스탠스를 취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볼수 있는 코스상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을 말한다. 얼음과 눈은 플레이어의 선택권에 따라 캐주얼 워터 또는 루스 임페디먼트로 칠 수 있다. 단. 인공의 얼음은 장해물이다. 이슬은 캐주얼 워터가 아니다.

7. 위원회
(Commettee) "위원회"라고 함은 경기를 관리하는 위원회를 말하며, 경기 문제가 아닌 경우에는 코스를 관리하는 위원회를 말한다.

8. 경기자
(Competitor) "경기자"란 스트로크 경기를 할 때의 플레이어를 말한다. "동반 경기자"란 경기자와 (같은자) 플레이하는 사람을 말하며 이들은 서로 파트너가 아니다. 그러나 스트로크 플레이에서 두 사람씩 파트너가 되는 포섬 또는 포볼에 있어서는 "경기자" 또는 동반 경기자"라는 말에 그파트너를 포함한다.

9. 휴대품
(Equipmet) "휴대품"이란 플레이어가 사용, 착용 혹은 휴대하는 물건을 말하며 플레이어가 플레이 중의 볼. 혹은 볼의 위치나 볼을 드롭할 구역을 마크할 때 사용되는 주화나 티와 같은 작은 물건은 휴대품이 아니다. 휴대품 중에는 수동, 자동의 골프 카트도 포함된다. 골프카트가 공용일 경우 그 규칙 적용은 공용의 캐디 조항에 준한다.

10. 깃대
(Flagstick) "깃대"란 홀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기 또는 이와 유사한 물건을 달거나 또는 달지 않은 채 홀의 중심에 꼿꼿이 세운 움직일 수 있는 표식이다. 깃대의 단면은 원형이어야 한다.

11. 포어캐디
(Forecaddie) "포어캐디"란 코스에 있는 볼의 위치를 플레이어에게 알리기 위하여 위원회가 배치한 자로서 국외자이다.

12. 수리지
(Ground Under Repair) "수리지"란 위원회의 지시로 혹은 그 대행자에 의하여 수리지로 선언된 코스 내의 구역이다. 수리지라는 표시가 없어도 다른 곳으로 옮기기 위하여 쌓아 올려 놓은 물건과 그린 키퍼가 만든 구멍이 포함된다. 수리지를 표시하는 말뚝은 장해물이다. 수리지 구역의 한계는 수직 아래쪽으로 연장될 뿐 위쪽으로는 아니다. 볼이 수리지 안에 놓여 있거나 볼의 일부라도 수리지에 접촉하고 있을 때 수리지 안의 볼이다.

주1: 코스에 남겨 놓은 깎아 놓은 풀이나 기타 물건으로서 다른 곳으로 옮길 의사가 없이 방치되어 있는 것들은 수리지 표시가 없는 한 수리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주2: 위원회는 수리지에서나 수리지로 지정된 환경보호구역에서의 플레이를 금지하는 로컬룰을 제정할 수 있다.

13. 해저드
(Hazards) "해저드"란 모든 벙커 또는 워터 해저드를 말한다.

14. 홀
(Hole) "홀" 의 지름은 108mm(4.25인치)이고 그 깊이는 100mm(4.0인치)이상이어야 한다. 원통은 토질이 허용하는 한퍼팅 그린면에서 적어도 25mm(1인치)는 아래로 묻어야 한다. 원통의 바깥 이름은 108mm이내 이어야 한다.

15. 홀에 들어간 볼
(Holed) 볼이 홀의 원통 내에 정지 했을때, 그리고 볼의 전부가 홀의가 보다도 아래에 있을 때, 그 볼은 홀에 들어간 볼이다.

16. 오너(Honour) 한사이드가 티잉 그라운드에서 먼저 플레이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 받은 것을 "오너"를 얻었다고 한다.

17. 래터럴 워터 해저드
(Later Water Hazard) 워터 해저드 또는 그 일부로서, 볼이 해저드의 경계선을 최후에 넘어간 점과 홀과의 선상 후방에 볼을 드롭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워원회가 볼의 드롭이 가능한다고 지정한 수역을 말한다. 래터럴 워터 해저드로서 플레이하는 워터 해저드의 부분은 명백히 구별되어야 한다.

주. 래터럴 워터 해저드의 구역 한계는적색 말뚝이나 선으로 한계를 표시하여야 한다.

18. 플레이의 선
(Line of Play) 플레이어가 스트로크 후 볼이 가기를 원하는 방향과 그 방향의 양쪽 적절한 거리도 포함한다. 플레이의 선은 지면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나 홀을 넘어서는 연장되지 않는다.

19. 퍼트의 선
(Line of Putt) 퍼팅 그린에서 플레이어가 스트로크 후에 볼이 가기를 원하는 선을 말한다. 퍼트의 선은 의도했던 양쪽 방향의 적절한 거리도 포함한다. 퍼트의 선은 홀을 넘어서는 연장되지 않는다.

20. 루스 임페디먼트
(Loose Impediments) 자연물로서,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생장하지 않고. 땅에 단단히 박혀 있지 않으며, 볼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돌, 나뭇잎, 나뭇가지 같은 것들과 흩어진 흙은 퍼팅 그린 위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루스 임페디먼트이다. 얼음과 눈은 플레이어가 임의로 캐주얼 워터 또는 루스 임페디먼트로 할 수 있다. 단 인공의 얼음은 장해물이다. 이슬은 루스 임페디먼트가 아니다.

21. 분실구
(Lost Boll) 다음의 경우는 "분실구"이다.
a. 플레이어, 그의 사이드 또는 이들의 캐디가 찾기 시작하여 5분 이내에 발견하지 못하거나 자기의 볼임을 플레이어가 확인하지 못한 때
b. 원구를 찾지 않고 본 규칙에 따라 다른 볼을 플레이한 때
c. 원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장소로부터 또는 그 장소보다 홀에 가까운 지점에서 잠정구를 플레이한 때 이 이후는 잠정구가 인 플레이의 볼이 된다. 오구의 플레이에 소비한 시간은 수색을 위하여 부여된 5분간에 계산에 넣지 않는다.

22. 마커
(Maker) 스트로크 플레이 때 경기자의 스코어를 기록하도록 위원회가 임명한 사람이며 동반 경기자가 마커로 될 수 있다. 마커는 심판원이 아니다.

23. 움직이는 볼
(Move or Moved) 볼이 정지하고 있는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옮겨가서 정지한 때 그 볼은 "움직인 것"으로 간주한다.

24. 업저버
(Observer) 사실 문제의 판정에 관하여 심판원을 보조하며 벌칙을 심판원에게 보고하기 위하여 위원회가 임명한 사람을 말한다. 업저버는 깃대에 붙어 서거나 홀 앞에 서거나 홀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볼을 집어 올거나 그 위치를 마크하지 못한다.

25. 장해물
(Obstructions) 모든 인공의 물건으로서, 도로와 통로의 인공의 표면과 측면 및 인공의 얼음등을 포함한다. 단 . 다음의 것은 제외된다.
a. 아웃 오브 바운드를 표시하는벽, 담, 말뚝 및 울타리
b. 아웃 오브 바운드에 있는 움직이지 못하는 인공 물건의 모든 부분
c. 코스와 불가분한 것으라고 위원회가 지정한 모든 구축물

26. 아웃 오브 바운드
(Out of Bounds) 플레이가 금지된 구역을 말한다. 아웃 오브 바운드를 말뚝이나 울타리를 기준으로 표시할 경우 볼이 말뚝이나 울타리를 넘었는가를 문제로 할 때 그 아웃 오브 바운드의 선은 말뚝이나 울타리(지주를 포함하지 않은)기둥의 지면에 접한 가장 가까운 안쪽 점에 의하여 결정된다. 아웃 오브 바운드가 지상의 선으로 표시되었을 때 그 선 자체가 아웃 오브 바운드이다. 아웃 오브 바운드의 선은 수직으로 상하에 연장된다. 볼의 전체가 아웃 오브 바운드에 있을 때는 아웃 오브 바운드의 볼이된다. 플레이어는 코스 내에 있는 볼을 플레이하기 위하여 아웃 오브 바운드에 설수 있다.

27. 국외자
(Outside Agency) 매치 플레이에서는 매치에 관계없는 사람과 사물을 말하며, 스트로크 플레이에서는 경기자의 사이드에 속하지 않는 사람과 사물을 말한다. 심판원, 마커, 업저버, 또는 포어캐디는 국외자이며, 바람과 물은 국외자가 아니다.

28. 파트너
(Partner) 같은 사이드에 속하고 있는 자기편의 플레이어를 말한다. 스리섬, 포섬 또는 포볼의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플레이어"라는 말에 그의 파트너가 포함된다.

29. 벌타
(Penalt Stroke) 규칙에 따라 플레이어 또는 사이드의 스코어에 부가되는 스트로크를 말한다. 스리섬과 포섬에 있어서의 벌타는 플레이의 타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30. 잠정구
(Provisional Boll) 불이 워터 해저드 이외에서 분실 또는 아웃 오브 바운드의 염려가 있을때 플레이하는 볼을 말한다.

31. 퍼팅그린
(Putting Green) 현재 플레이를 하고 있는 홀의 퍼팅을 위하여 특별히 정비한 전구역. 또는 위원회가 퍼팅 그린이라고 지정한 모든 구역을 말한다. 볼의 일부가 퍼팅그린에 접촉하고 있으면 퍼팅 그린 위의 볼 이다.

32. 심판원
(Referee) 플레이어와 동행하여 현장의 사실 문제를 재정하고 규칙을 적용하기 위하여 위원회가 임명한 사람을 말한다. 심판원은 목격하거나 보고받은 규칙 위반에 대하여 직권을 행사하여야 한다. 심판원은 깃대에 붙어 서거나 홀의 위에 서거나 그위를 표시하거나 또는 볼을 집어 올리거나 마크를 하지 못한다.

33. 럽 오브 더 그린
(Rub of the Green) 움직이고 있는 볼이 국외자에 의하여 우연히 방향이 변경되거나 정지된 경우를 말한다.

34. 사이드와 매치
(Sides and Matches) 사이드란 1인의 플레이어 또는 파트너인 2인 혹은 그 이상의 플레이어를 말한다. 싱글이란 1인 대 1인의 매치이다. 스리섬이란 1인이 플레이어가 다른 2인에 대항하여 각 사이드가 한개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포섬이란 2인이 2인에 대항하여 각 사이드가 한개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스리볼이란 3인이 서로 대항하여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는 매치이다. 베스트볼이란 1인의 플레이어가 2인 또는 3인으로 된 사이드에 대항하여, 2인 이상의 사이드는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되 그중 좋은 스코어를 그 사이드의 스코어로 하는 매치이다. 포볼이란 2인이 2인에 대항하여 각 플레이어는 각자의 볼을 플레이하며 각 홀마다 그 사이드의 적은 스코어를 그 사이드의 스코어로 하는 매치이다.

35. 스탠스
(stance) 플레이어가 스트로크를 하기 위하여 발을 제위치에 정하고 섰을때 "스탠스"를 취한 것으로 한다.

36. 정규의 라운드
(Stipuated Round) 위원회가 따로 허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홀의 순서에 따라 코스의 여러 홀을 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정규 라운드의 홀수는 위원회가 18홀보다 적은 홀수를 허용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18홀이다.

37. 스트로크
(Stroke) 볼을 올바르게 쳐서 움직일 의사를 가지고 행하는 클럽의 앞 방향으로의 동작을 말한다. 그러나 클럽 헤드가 볼에 도달하기 전에 플레이어가 다운 스윙을 자발적으로 중지했을 경우, 플레이어는 스트로크를 하지않는 것으로 친다.

38. 티잉 그라운드
(Teeing Ground) 플레이할 홀의 출발 장소를 말한다. 이것은 2개의 티마커의 외측을 경계로 하여 전면과 측면이 한정이며, 측면의 길이가 2클럽 길이인 직사각형의 구역이다. 볼 전체가 티잉 그라운드 구역 밖에 있으면 티잉 그라운드의 밖에 있는 볼이다.

39. 스루 더 그린
(Through the Green) 다음 구역을 제외한 코스의 전구역을 말한다.
a. 플레이 중인 그 홀의 티잉 그라운드와 퍼팅 그린
b. 코스 내의 모든 해저드

40. 워터 해저드
(Water Hazard) 모든 바다, 호수, 못, 하천, 도랑, 배수구의 표면 또는 뚜껑이 없는 수로(물의 유무를 불문한다.) 및 이와 유사한 수역을 말한다. 워터 해저드 구역 경계내의 모든 지면 또는 수면은 그 워터 해저드의 일부분이다. 워터 해저드의 경계선은 수직으로 그위 아래까지 연장 적용된다. 워터 해저드 그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말뚝과 선은 해저드 내로 된다. 그러한 말뚝은 장해물이다. 볼이 워터 해저드 안에 놓여 있거나 볼의 일부가 워터 해저드에 접촉하고 있으면 워터 해저드 안의 볼이다.

주1: 워터 해저드(래터럴 워터 해저드 제외)는 황색 말뚝 또는 선으로 한계를 표시하여야 한다.

주2: 위원회는 워터 해저드로 지정된 환경보호구역에서의 플레이를 금지하는 로컬룰을 제정할 수 있다.

41. 오구
(Wrong ball) 다음에 명시한 것 이외의 모든 볼을 말한다.
a. 인 플레이 볼
b. 잠정구

주: 인 플레이 볼 중에는 볼의 교체가 허용되든지 안되든지에 상관없이, 인 플레이 볼과 교체된 다른 볼도 포함된다.

 

 

출처 : 선한목자
글쓴이 : 선한목자 원글보기
메모 :